고객 인터뷰
(영업관리) “샘플만 주구장창 가져가는 바이어가 있어요”
샘플만 주구장창 가져가는 바이어가 있어요. 근데 Order는 잘 안주는 얌체들이 제법 있는데..
바이어별 샘플에서 Order까지 추적하고, 거기에 수익률 비교를 해서 진상들을 골라내고 싶었어요.
근데 이제는 샘플 소싱부터 바이어 상담, 발송, 오더수주까지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고 통계까지 나와서 너무 편해요.
(상담준비) “라벨 만드느라 이틀 동안 아무것도 못했어요”
바이어 상담 준비로 샘플 라벨 만들어 붙이는데.. 이틀 동안 딴 일 아무것도 못했어요.
근데 이제는 라벨 종류가 많고 Offer가격으로도 바로 라벨을 인쇄할 수 있어서 준비시간이 확 줄었어요.
(전시장) “수기로 적다 보니 시간이 오래 걸려요”
우리 회사는 해외 전시회를 1년에 4~5차례 나가는데, 전시장에서 바이어한테 제품을 수기로 적어서 주면,
쓰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글씨를 잘못 쓰면 상대방이 잘 알아보지도 못했어요..
근데 이제는 바코드 스캔하면 현장에서 바로바로 상담 등록하고, 보고서 출력해서 바이어에게 주면 되니까,
정말 편하고 시간이 거의 50% 이상 줄어든 것 같아요 !
(재고관리) “누가 몇YD 잘라가도 몰라요”
제품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담당자들이 여러 명이다 보니, 몇 YD 잘라가도 모르고,
재고가 있는데도 또 발주하고, 회사의 손실이 말이 아니었어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재고 실사 확인하는데 꽤나 걸렸는데… 시스템에 기록을 하기 시작하니까
매출 대비 제품 생산 발주 수량은 10% 감소했어요. 기존 재고 소진의 소진이라 할까요? 실수가 많이 줄었어요
(상담사후) “일지를 보고 하나씩 세어서 처리해요”
과거에는 출장 정산보고서를 만드는데 어떤 아이템이 몇 번 상담했는지,
상담일지를 보고 하나하나 세어서 처리했습니다. 정리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었는데
이제는 바코드로 바로 처리되고 전시회별로 정리가 돼서 너무 좋아요.
도입 효과
Quick Response를 통한 Order Hit 향상
바이어 성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소재 제안”
체계적인 관리 방식을 통한 바이어 신뢰도 향상
“월 비용 절감 1,281,000원”

구분 | 도입전 | 도입후 | 가치 환산 | 비고 |
---|---|---|---|---|
행거라벨 제작 |
- 아이템 정보와 라벨 별도 관리 - 평균 1개당 5분 내외 소요 (재제작시 반복적 시간 소요) |
즉시 |
- 월평균 시간절감(20시간) - 인건비 기준(140,000원) |
- 5분 * 100개 제작 - 시급 * 20시간 |
상담준비 | - 상담할 아이템 선별 + 정리시간 (평균 8시간) |
- 선별(4시간) + 정리(즉시) |
- 월평균 시간절감(24시간) - 인건비 기준(168,000원) |
- 4시간 * 6회 상담 - 시급 * 24시간 |
바이어상담 |
- 상담리포트 작성(30분) - 샘플 소싱시간 (상담 후 1일 이후 준비) |
- 상담리포트 작성(즉시) - 샘플소싱시간 (상담 후 즉시) |
- 월평균 시간절감(51시간) - 인건비 기준(357,000원) |
- 8.5시간 * 6회 상담 - Quick Response를 통한 Order Hit 향상 |
상담분석 |
- 바이어별 상담분석(1일) - 아이템별 상담분석(1일) * 정보의 산재로 분석 불가능할 수도 있음 |
- 바이어별 상담현황(즉시) - 아이템별 상담현황(즉시) |
- 월평균 시간절감(48시간) - 인건비 기준(336,000원) |
- 8시간 * 6회 상담 - 바이어 성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소재 제안 |
아이템 정보 공유 |
- 아이템 정보 전달 시간(1시간) - 아이템 찾기 또는 검색(1시간) |
- 아이템 공유(즉시) - 아이템 검색(즉시) |
- 월평균 시간절감(40시간) - 인건비 기준(280,000원) |
- 1시간 * 40건 공유/검색 |
고객 신뢰도 향상 | - 수기 리포트, 전화 등으로 관리 | - IT기술을 활용 | - 체계적인 관리 방식을 통한 바이어 신뢰도 향상 | |
월평균 비용 절감 합계 | - 1,281,000원/월 |